우리나라에서 포털 사용자가 가장 많은 사이트 순은 네이버, 구글, 다음 순입니다. 그 뒤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빙(bing), 이스트소프트에서 만든 포털 줌(zum)이 뒤따르고 있습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등록 및 구글 서치 콘솔 등록과 마찬가지로 빙 포털사이트에 티스토리를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티스토리 빙(bing)
웹마스터 도구 등록하는 방법
티스토리 빙(bing) 웹마스터 도구 등록하는 방법
먼저 포털사이트에 '빙 웹마스터 도구' or 'bing 웹마스터 도구'라고 검색을 합니다.
상단에 보이는 bing 웹 마스터 도구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빙 웹 마스터 도구 사이트 메인 화면에서 시작하기를 눌러주세요.
시작하기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로그인 팝업창이 뜹니다. 편한 계정을 선택해서 로그인해 주세요.
저는 이미 다른 블로그가 있기 때문에 새 블로그 등록을 위해서 왼쪽 상단의 사이트 추가를 클릭합니다.
그다음 우측의 사이트 수동 추가를 선택하고 자신의 티스토리 주소를 입력하고 추가합니다.
인증 방법 중 html메타 태그를 선택한 후 제공된 메타 태그를 복사하여 티스토리 블로그로 이동합니다. 이화면은 닫지 말고 그대로 두세요. 티스토리 플러그인에 메타 태그 입력 후 다시 돌아와 확인을 누를 예정입니다.
티스토리 관리자 모드에서 좌측 메뉴 중 플러그인을 선택합니다.
위 메타태그 name="................." content="..............................."에서 큰 따옴표 안에 있는 것만 우측 메타 태그에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앞칸은 name, 뒤칸은 content. 변경사항 적용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제 다시 bing 웹마스터 도구 화면으로 이동하여 확인을 눌러줍니다.
사이트 추가가 잘 되었다면 아래와 같은 축하합니다! 문구가 보입니다. 고생하셨습니다.
빙(bing) 사이트맵(sitemap) 제출 방법
이렇게 bing 웹사이트 도구에 티스토리를 추가했으니 사용자 데이터 및 보고서를 처리하는 중이며 결과에 반영되기까지 최대 48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합니다. 색인화 처리 속도를 높이려면 사이트맵 기능을 사용하여 사이트 맵을 제출 하면 됩니다.
빙(bing) 사이트맵(sitemap) 제출방법
빙 웹마스터 도구 화면 좌측 메뉴 중 사이트맵을 선택해주세요. 그다음 사이트맵 제출을 눌러주세요.
예시가 잘 나와있습니다. 자신의 티스토리 주소 뒤에 /sitemap.xml을 추가해서 입력하고 제출해주세요.
상태가 처리 중입니다.
잠시 뒤 새로고침 하니 성공으로 뜹니다.
네이버, 구글, 다음 외에 빙이나 줌에서도 여러분의 글이 많이 검색 유입되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