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꾸준함이 답이다
재테크 with 앱테크/재테크

파이프라인(Pipeline) 우화를 아시나요?

by 꿈앤 2021. 5. 24.
320x100
반응형

시간적, 경제적 자유를 열망하는 디지털 노마드, 파이어족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현실입니다. 저 또한 시간적, 경제적 자유를 누리기 위해 오늘도 열심히 하루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당장은 힘이 들더라도 돈의 파이프라인을 만들어야 함을 느끼게 해 줬던 파이프라인(pipeline) 우화는 오늘날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디지털 노마드를 꿈꾸는 많은 분들은 한 번 쯤은 들어봤을 테지만 혹시 모르는 분들을 위해 파이프라인의 우화를 살펴보겠습니다.



파이프라인(Pipeline)
우화를 아시나요?

파이프라인 우화
파이프라인 우화/ 버크 헤지스

버크 헤지스가 쓴 <파이프라인 우화>라는 책에는 이탈리아의 아주 작은 마을에 사는, 파블로와 브루노라는 두 청년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두 청년은 마을에서 제일 큰 부자가 되겠다는 꿈을 꾸며 가까운 강에서 물을 길어다가 마을 광장의 물탱크를 채우는 일을 했습니다.


체력이 상당히 소진되는 일이었지만, 그만큼 보수가 높았기 때문에 두 청년은 부자가 되겠다는 꿈에 부풀어 힘든 것을 참고 열심히 일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파블로는 문득 이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



'물통을 가지고 왔다 갔다 하지 말고, 강에서 마을까지 연결되는 파이프라인을 만들면 어떨까?


파블로는 이렇게 생각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날부터 강에서 마을까지 연결되는 파이프라인을 만드는 일에 집중했습니다. 물론 날마다 입에 풀칠은 해야 했기에 본업인 물 긷는 일도 동시에 진행했습니다.



이처럼 본업과 파이프라인을 만드는 일을 병행했기 때문에 그 시간이 상당히 힘들었지만 시간이 지나자 점차 결과가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파이프라인이 마을에 점점 가까워질수록 물 긷는 시간도 줄어들고 체력도 아낄 수 있었던 것입니다.



반면에 또 다른 청년인 브루노는 2배의 힘을 쏟아가며 파이프라인을 만드는 파블로를 어리석다고 생각하면서, 계속해서 강에서 마을까지 직접 물을 길어다 나르는 일에만 집중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마침내 파블로가 만들던 파이프라인이 완성되었습니다. 덕분에 파블로는 이때부터 가만히 앉아서 돈을 벌게 되었습니다.


반면에 브루노는 나이가 들면서 점차 체력이 약해지고 결국 일자리마저 잃게 되는 난처한 상황에 빠집니다.


여러분은 과연 파블로와 브루노 어느 쪽의 선택을 하실 건가요? 지금이라도 돈의 파이프라인을 꾸준히 만들도록 노력하는 삶을 살아가봅시다.

320x100
반응형

댓글